반응형
개요
GIT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폴더 or 디렉토리를 GIT으로 만들어야지 시작을 할 수 있다.
GIT Version
- git init : 깃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- git status : git의 상태를 볼 수 있는 메세지
커밋된 내역이 없으며 test.txt 파일을 add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.
- git add : Commit을 할 대상들을 Staging area에 보내는 작업
add 후 status를 보게 되면 new file에 test.txt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- git rm --cached {file} :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을 지우는 명령어
혹시 파일을 잘못 add 했을 경우는 해당 명령어로 지울 수 있다.
- git commit -m {message} :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을 repository로 보내는 작업
- git log : commit 로그 확인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원격 저장소 (0) | 2021.10.27 |
---|---|
GIT branch (0) | 2021.10.26 |
Git 저장소 (0) | 2021.10.21 |